TV + 연예

송은이는 희망이 될 것인가, 돌연변이가 될 것인가?

너의길을가라 2018. 3. 23. 17:13
반응형



홍일점(紅一點). 현재 대한민국 예능계에서 '여성'이 소비되는 사실상 유일한 방식이다. 달리 표현하면 여성들은 홍일점이 되지 않고서는 예능에 출연할 방법이 없다는 이야기다. 좀더 현실적인 언어로 말해볼까. 홍일점은 생존 방식이 돼 버렸다. 그것말고는 살아남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성들은 꽃병풍이 돼야 하고, 치어리더가 돼야 한다. 그리고 남성 고정 출연자를 위해 애교를 부려야 한다. 


홍일점은 '많은 남자들 틈에 하나뿐인 여자'를 뜻하는 말이다. 그만큼 예능계가 남성 중심으로 흘러가고 있다. 이를 '남탕 예능'이라 불러보자. 그 예를 찾는 건 어렵지 않다. MBC <무한도전>, JTBC <아는 형님>, MBC <라디오 스타>, SBS <집사부일체> 등 머릿속에 떠오르는 대부분의 예능이 해당되니 말이다. 이렇듯 '남탕 예능'이 주류를 넘어 전부가 된 시점에서 여성 예능인들이 설 자리는 좁아들다 못해 없어져 버렸다.


KBS2 <해피 투게더>의 엄현경처럼 '홍일점(에 만족하지 못하거나 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면 박미선처럼 하차하게 된다.)'이 되거나 SBS <불타는 청춘>처럼 남성들과 함께 짝을 이뤄 출연해야 한다. 과거 MBC <우리 결혼했어요>와 JTBC <님과 함께>가 그랬던 것처럼. 또는 SBS <싱글 와이프>처럼 남편들의 관찰 대상이 돼야만 한다. 철저히 성 역할 편견에 의해 소비되고, 그럴수록 기존의 성 역할 편견은 고정되며 강화된다. 



새로운 시도가 없었던 건 아니다. On Style <뜨거운 사이다>는 4개월 동안 여성들의 시각에서 다양한 이슈들을 다뤘다. <뜨거운 사이다>는 시청자의 입장에서도 해갈 같은 프로그램이었다. 기회가 없어 목소리를 낼 수 없었던 여성들에겐 말할 수 있는 장이 생겼고, 여성들의 목소리가 궁금했던 이들에겐 반가운 소통의 창구였다. 종영 방송에서 김숙은 "고민이 깊어지면서 불편함을 알게 됐다."고 고백하기도 했다. 


이렇듯 <뜨거운 사이다>는 의미있는 족적을 남겼지만, 저열한 비난의 타깃이 돼야 했다. 능력있는 여성 예능인들이 사라져버린 것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똑똑한 여성들은 이 세계에서 살아남기 어렵다. 예쁘게 미소를 짓고, 물개 박수를 치며 웃거나, 애교를 부리는 것만이 허용된다. 고정된 성 역할에서 벗어나면 벼랑 끝이다. 과거 <라디오 스타>에서 애교를 거부하고 눈물을 흘린 카라의 강지영이 뭇매를 맞았던 것처럼.


자, 상황이 이렇다. 생산자와 (일부) 소비자가 담합한 구조적 문제다. 좀더 쉽게 방송을 만들기 위해, 당장의 실적을 내기 위해 예능계는 별다른 고민 없이 남성 중심의 방송들을 꾸려 왔다. '남탕'을 재탕, 삼탕 해왔다. 시청자들의 선호를 무시할 순 없을 것이다. 남성을 중심으로 한 예능이 잘 나가는 건 사실이다. 인기가 높은 것도 사실이다. 또, 남성에 보다 관대한 시선을 보여주는 것 역시 분명하다.

FNC엔터테인먼트


일각에서는 '여자들이 재미가 없어서 그렇다', '능력있는 여성 예능인이 없어서 그렇다'며 여성의 문제 혹은 개인적인 문제로 치환시켜 나간다. 더 나아가 이 구조적인 문제를 여성 예능인이 좀더 노력하면 될 일로 몰아간다. 그 예로 요즘 대세로 자리잡은 송은이를 들기도 한다. 송은이처럼 웃기면 방송 출연 기회가 생기는 것 아니냐며 반문하는 것이다. 과연 그럴까? 


실제로 송은이가 일궈낸 성과는 위대하기까지 하다. 또, 그는 여성 예능인들의 유일한 희망이자 대안처럼 보인다. 그는 2015년 4월 팟캐스트라는 음지로 들어가 <송은이 김숙의 비밀보장>을 시작했다. 결과는 대박이었다. <비밀보장>은 방송 초기에 누적 다운로드 수가 1,700만 회에 이르렀고, 전체 1위라는 기염을 토했다. 송은이와 김숙은 그 기세를 몰아 SBS 라디오 러브FM <송은이 김숙의 언니네 라디오>를 맡게 됐다.


송은이의 행보는 거침이 없었다. 2016년 2월 유튜브에 '비보TV'를 개국해 본격적으로 기획자로서 나섰다. 새롭게 판을 짠 것이다. 송은이는 '짠돌이' 김생민을 발굴했고, '가모장' 캐릭터를 앞세운 김숙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그런가 하면 김신영, 신봉선, 안영미, 김영희와 함께 걸그룹 '셀럽파이브'를 결성해 엄청난 화제를 몰고 왔다. 송은이는 대세로 자리잡았고, 그가 손을 대면 대박이 터진다는 신화를 써내려 가고 있다. 



이처럼 시청자들에게 빅재미를 선사하고 있는 송은이가 '밖'으로 돌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무엇일까. 그는 왜 TV 예능이 아니라 팟캐스트를 통해 재기를 해야 했을까. 그 이유는 앞서 설명했듯 '남탕 예능' 때문이었다. 설 자리가 없었기 때문에 활로를 찾아야 했고, 그 절박했던 도전이 성공을 거둔 것이다. "일이 없어지니까 '이 길이 아닌 것 같다'며 적성검사를 했다"는 송은이의 말은 가볍게 들을 농담이 아니다.


상황이 쉽사리 바뀔 것 같진 않다. 여전히 여성을 '홍일점'으로 소비하는 패턴은 유지될 것이다. 여성 출연자에게 애교를 강요하는 성 역할 편견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이런 현실에서 송은이는 유일한 희망처럼 보인다. 그런데 구조적인 문제를 남겨둔 채, 한 명의 뛰어난 기획자 송은이에게 모든 걸 기대는 게 정답일까? 비주류에서 출발해 주류를 전복시키는 송은이의 행보가 유쾌하면서도 내심 불안한 건 그 때문이다. 


여전히 여성 예능, 여성 예능인을 보는 우리들의 시선은 지나치게 야박하다. 그들의 능력을 말하기 전에, 그들에게 공정한 기회를 부여했는지를 돌아보자. 실패는 남성 예능, 남성 예능인들이 훨씬 더 많이 하고 있지 않은가. 송은이를 희망으로 만들지, 아니면 돌연변이로 만들지는 송은이에게 달린 문제가 아닐지도 모르겠다. 온전히 우리에게 달린 문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