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 연예

표정 없는 글자의 오해, 하연수 논란의 실체는 무엇인가?

너의길을가라 2016. 8. 2. 07:07
반응형


처음 '하연수'라는 이름 세 글자가 포털 사이트 '실시간 검색어'에 랭크될 때만 해도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 연예인이 화제가 되는 건 흔한 일이니까. MBC <마리텔>에 또 출연하기로 했나? 다른 예능에 나오나? 드라마에 캐스팅 됐나? 그런데 분위기가 심상치 않았다. 기사들을 살펴 보니 'SNS 논란', '인성 논란' 등이 하연수라는 이름 옆에 찰싹 붙어 있었다. 도대체 무슨 일일까? 실언(失言)이라도 했나. '인성(人性)'까지 언급될 정도라니, 도대체 무슨 말을 한 거야!



1. 

누리꾼 : 실례지만 사진 가운데 작품이 뭔지 알고픈데 방법 없나요?

하연수 : 방법은 당연히 도록을 구매하시거나 구글링인데, 구글링하실 용의가 없어 보여서 답변 드립니다. selbstportat 1914년 작품입니다.


(2016년 7월 15일)


2. 

하연수 : 하프의 대중화를 위해 공연도 더 많이 챙겨 보고 하프 연주도 다시 시작해야겠습니다.

누리꾼 : 대중화를 하기에는 가격의 압박이 너무

하연수 : 인류 최초의 악기인 리라에서 기원한 하프는 전공자 분들이 다루시는 그랜드 하프와 초보자들도 쉽게 다룰 수 있는 켈틱 하프, 이렇게 두 종류로 나뉘는데요. 수천만 원대의 그랜드 하프와는 달리 켈틱 하프는 50만 원 이하부터 수백만 원대까지 가격대의 폭이 매우 넓습니다. 잘 모르시면 센스 있게 검색을 해보신 후 덧글을 써주시는 게 다른 분들에게도 혼선을 주지 않고 이 게시물에 도움을 주시는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2016년 6월 2일)


여러 번 읽어봤지만, 도대체 하연수가 무엇을 잘못했는지 알 수 없었다. 물론 어떤 문장들이 소위 '팬'이라는 사람들을 언짢게 했는지 추측은 됐다. 불쾌함을 느꼈던 사람들은 하연수의 말이 '사족(蛇足)'이라 여겼던 것이다. "방법은 당연히 도록을 구매하시거나 구글링인데. 구글링 하실 용의가 없어 보이셔서 답변 드립니다"라는 말이 '조롱'처럼 들렸던 모양이다. 또, "잘 모르시면 센스 있게 검색을 해보신 후 덧글을 써주시는 게 다른 분들에게도 혼선을 주지 않고 이 게시물에 도움을 주시는 방법이라 생각됩니다"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그건 (수용하는 입장에서 바라볼 때) '태도'의 문제였을 것이다. 려줄 거면 그냥 대답만 해주면 될 일이지, '네가 좀 찾아봐라'는 식으로 비아냥거릴 게 뭐란 말인가. 이건 팬을 무시하는 '태도' 아닌가? 논란이 불거지자 하연수는 즉각 사과했다. "배우로서 모든 발언에 책임감을 갖고 신중한 모습을 보여드렸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했"다면서 "저의 미성숙한 발언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번 정중히 사과드린다"고 머리를 조아렸다. 사태의 악화를 막기 위해 하연수의 사과는 '불가피'했지만, 과연 그 사과는 '정당'한 것이었을까?


여기에는 '사실'이 없다. 하연수의 발언을 수용한 사람들의 '반응'만 존재할 뿐이다. 그 반응은 하연수가 제어할 수 있는 범위의 것이 아니다. 하연수가 실제로 '조롱'과 '비아냥'을 표현했던 것인지 알 수 있는 건 '하연수'뿐이다. (설령 그렇다고 한들, 그것이 뭐가 그리 대수란 말인가?) 개인적인 의견을 덧붙인다면, 필자는 그런 뉘앙스를 발견하지 못했다. 물론 이건 또 다른 '반응'일 뿐이다. 과연 하연수에게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의 '반응'을 일일이 신경쓰라고, 주의하라고 요구하는 것이 가당키나 한 일일까? 연예인이니까? SNS를 하니까? 아무래도 부당하다, 그건.


여기에 '인류 최초의 악기'가 하연수의 설명처럼 '리라'가 아니라 '플룻'이라는 또 다른 누리꾼의 지적이 더해지면서 논란의 모양새가 더욱 나빠졌다. 일부 누리꾼들은 하연수가 썼던 "잘 모르시면 센스 있게 검색을 해보신 후"라는 말을 부메랑처럼 사용했다. 그것이야말로 진짜 '조롱'이 아니고 무엇인가. 그런데 어차피 우리는 '불완전한' 지식의 파편을 끌어안고 살아간다. 잘못된 정보를 갖고 있다면, 수정하면 될 일이다. 또 다른 누리꾼의 지적에 하연수가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하연수가 '틀렸다'는 것이 큰 문제가 되진 않는다. 모르면 '찾아보면' 될 일이고, 틀렸으면 '수정하면' 될 일이다. 


2015. 6. 1. 하연수의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에 달린 댓글과 그에 대해 똑부러진 덧글을 달았던 하연수


그냥 '가볍게' 받아들이면 어떨까? 어차피 연예인과 팬의 입장에서 '소통'을 위한 공간이 아닌가. 그런데 애초에 그 빛 좋은 개살구인 소통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는 이유는 간단하다. 그것이 '글자'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하연수의 언어 속에 '빈정'이나 '조롱'이 숨어 있는지 확인할 방법은 없다. 그건 하연수만이 알 수 있다. '문자'나 '카톡'을 주고 받을 때, '이모티콘' 없이 '글자'만을 보낸다면 분명 '무뚝뚝'하다고 여기거나 '화 났어?'라는 질문을 받게 될 것이다. 그건 '글자'로 나열되는 언어에 표정이 없기 때문이다. 아주 구체적으로 표현해주지 않는다면, 그러니까 시나리오처럼 괄호를 써가며 상황을 설명하지 않으면 '오해'를 사기 십상이다. 


SNS도 얼굴 없는 '글자'로 하는 것이기에 당연히 '오해'가 수반된다. 짐작하자면 하연수는 똑부러지는 성격으로 보인다. '진지충'이라는 별명도 그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과거 그가 달았던 덧글을 참조하길 바란다) 그는 궁금증이 생겼을 때, 다짜고짜 질문부터 하기보다 자신만의 답을 찾기 위해 이러저리 노력을 하는 스타일일 것이다. 그런 성향이 덧글에서 드러났던 것이지, 상대방을 무시할 생각이 있었다고 보긴 어렵다. 만약 하연수의 '음성지원'이 가능했다면 '오해'는 없었을 가능성이 크다. 역시 '수용자'의 태도가 더 문제다. 그래도 '반론'은 남을 것이다. 역시 '사족'이 아니었냐고. 그냥 '대답'만 해주면 되는 것 아니냐고.



퍼거슨 감독은 이렇게 말씀하셨다. "트위터는 시간 낭비(It's a waste a time)" 이 얼마나 삶의 이치를 통달한 자의 혜안(慧眼)인가. '트위터'를 지칭하긴 했지만, 그건 반드시 '트위터'에 국한된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모든 SNS를 의미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저 유명한 진중권마저도 "SNS에선 섬세한 논의는 쉽게 생략된다. 사람들의 동의가 판단 기준이다. 거기서 일종의 '해석의 폭력'이 발생한다. 그게 파시즘이다"라며 "트윗질도 접으려 한다. 하던 일도 최소한으로 정리하고, 이제 내가 하고 싶은 것만 하면서 살고 싶다"며 SNS 절필을 선언했다. 


하연수에게 잘못이 있다면, 그가 SNS를 시작한 것일지 모른다. 트위터(SNS)는 시간 낭비라는 퍼거슨 감독의 조언을 몰랐거나 알면서도 무시했던 잘못 말이다. 진중권도 도망칠 수밖에 없었던 SNS의 '해석의 폭력'을 간과했거나. 그것 말고 그가 어떤 '잘못'을 저질렀는지 도무지 모르겠다. 어줍잖게 '소통'을 꿈꿨던, 허망한 꿈을 탓해야 할까. 애초에 그런 것은 없다고. 이 적나라한 현실을 이제는 알겠냐고. 하연수는 깨달았을까. 이 얼마나 서글픈 일인가. 그렇게 또 한 명의 뜨거운 친구를 잃어버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