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 연예

염정아, 김정난, 김선아, 한지민의 공통된 고민과 아쉬움

너의길을가라 2019. 1. 25. 14:57
반응형



"한동안 여배우가 연기할만한, 아니 여자들이 나오는 작품이 아예 없어 서러웠다."

'핏줄까지 연기하는 배우'라는 극찬을 받고 있는 배우 염정아의 인터뷰 내용이다. 그 정도로 디테일한 연기력을 갖추고 있으면 무엇하겠는가. 능력을 발산할 장이 없다면 무용지물일 뿐이다. 영화 <완벽한 타인>이 좀더 특별한 영화가 될 수 있었던 이유는 염정아 때문이었다. 그가 연기한 수현이 후반부에서 억눌려 왔던 감정들을 분출하는 장면은 관객들에게 카타르시스를 선사했다. 단연 영화의 클라이맥스였다.

재미와 사회적인 메시지, 거기에 시청률까지 세 마리 토끼를 다 잡은 JTBC <SKY 캐슬>은 '배우들의 재발견'을 이끌어 낸 수작이다. 모든 배우들이 자신의 옷을 입은 듯 최고의 연기를 뽐냈고, 제2의 전성기를 내달리며 연기 인생의 새로운 장을 열어젖혔다. 역시 일등공신은 ' 예서 엄마' 염정아일 것이다. 한서진, 아니 이젠 '아갈미향'이라는 별명으로 더 익숙한 그의 원숙한 연기력은 드라마를 지탱하는 버팀목이었다.


또, 눈빛과 표정, 목소리까지 완벽했던 김서형의 섬뜩한 연기는 염정아와 각을 이루며 드라마에 긴장감을 불어 넣었고, 현명하고 똑부러진 엄마를 표현했던 윤세아의 고급스러운 연기는 <SKY 캐슬>의 매력 포인트였다. 그런가 하면 '찐찐' 진진희 역의 오나라는 푼수끼 넘치면서도 사랑스러운 연기로 활력을 불어 넣었다. 이태란의 강단있는 연기도 후반부에 빛을 발했다. 이렇듯 <SKY 캐슬>은 여성 배우들의 활약이 그 어떤 드라마보다 두드러졌다.

<SKY 캐슬>을 언급하면서 이 배우를 빠뜨리면 섭섭하다. 차가운 눈밭 위를 맨발로 걸으며 모든 희망이 사라진 엄마의 감정을 절절히 표현해 냈던 배우, 절망적인 눈빛으로 시청자들의 마음을 뒤흔들어 놨던 김정난 말이다. 그는 모든 것을 다 가진 엄마 이명주가 순식간에 나락으로 추락하는 과정을 설득력 있게 표현해 냈다. <SKY 캐슬> 열풍의 첫 단추를 끼웠다고 하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 김정난은 이렇게 당부했다.



"많은 분들이 느끼시겠지만 국내에는 여전히 여배우가 할 역할 수가 적기 때문에 연기를 할 여건이 안 돼요. 제가 아는 정말 좋은 배우들도 역할이 없어서 쉬는 모습을 보거든요. 정말 제작자들이 여러 시선을 가지고 작품을 만들었으면 좋겠어요."

여성 배우들을 위한 역할이 부족하다는 문제의식는 오래 전부터 꾸준히 제기돼 왔다. 그러나 상황은 쉽사리 나아지지 않았다. 일부 영화의 경우에는 온통 남자 배우들로만 캐스팅이 이뤄진 경우도 많았다. 여성 캐릭터는 아예 배제돼 왔다. 드라마는 사정이 조금 나았지만, 그마저도 주인공의 엄마, 직장 동료 등 객체화된 캐릭터가 많았다. 멜로 드라마에서 여자 주인공은 필수였으나, 남자 주인공의 사랑을 받는 수동적인 캐릭터에 묶여 있었다.

일각에서는 '시장은 (언제나) 옳다'면서 남성 배우들을 '우대'하는 건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 아니겠냐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남성 배우 중심의 블록버스터들이 흥행에서 고배를 마시고, 오히려 여성 배우의 역량이 도드라진 작품들이 대중의 뜨거운 지지를 받고 있는 걸 감안하면 그 말이 얼마나 무책임한 것이었는지 잘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우리 사회가 여성 캐릭터에 대한 연구와 고민이 현저히 부족했다는 뜻이다.


"김혜수 선배나 염정아 선배처럼 시장의 흐름을 떠나 꾸준히 활동해온 선배님들이 있어요. 선배님들이 길을 닦아주신 덕분에 지금까지 올 수 있는 게 아닐까 싶어요. 여배우들도 출연하는 작품의 장르가 점점 확대됐으면 좋겠어요."

JTBC <품위있는 그녀>의 박복자, SBS <키스 먼저 할까요?>의 안순진, MBC <붉은 달 푸른 해>의 차우경까지 '삼순이'를 넘어 매 작품마다 새로운 인생 캐릭터를 연기하고 있는 김선아는 김혜수, 염정아 등 선배들에게 공을 돌렸다. 그들이 꿋꿋하게 자리를 지켜냈기 때문에 후배인 자신에게도 길이 열렸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계속해서 '배고픔'을 느끼고 있었다. 몇몇 배우들이 분전하고 있으나, 여전히 선택의 범위가 좁다는 것이다.

이건 단순히 여성 배우들의 일자리 문제에 국한된 사안이 아니다. 다양한 캐릭터는 곧 작품의 다양성과 직결된다. 그것이 곧 관객 혹은 시청자의 즐거움과 맞물려 있다는 건 두말하면 잔소리다. 김정난의 말처럼 연기를 잘하는 배우들이 정말 많이 숨어 있다. 그들은 숨고 싶어서 자취를 감춘 게 아니다. 배역이 없기 때문이다. <미쓰백>으로 여우주연상을 휩쓴 한지민의 수상 소감은 감격스러우면서도 씁쓸하다.


“상대적으로 여성 캐릭터가 주체적으로 활약하는 영화가 적다 보니 이런 캐릭터를 맡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감사했다."

이런 캐릭터를 맡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감사해야 하는 상황, 여성 배우들이 처해 있는 상황을 명징하게 보여준다. 한지민, 김선아를 비롯해 <SKY 캐슬>의 주역들을 보라. 판을 깔아주니 저토록 무섭게 연기를 해내고야 말았다. 대단한 걸 요구하는 게 아니다. 연기할 수 있는, 색채(깔)을 넣어 표현할 수 있는 캐릭터를 만들어 달라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우리 사회가 변해야 하고, 그 구성원인 우리들의 생각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