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 연예

종영한 <청춘시대>가 남긴 두 가지 고민, 데이트 폭력과 청년 실업

너의길을가라 2016. 9. 1. 08:48
반응형


청춘(靑春) : 한창 젊고 건강한 나이


"청춘에 나이가 무슨 상관이야?" 우리는 흔히 청춘과 나이를 분리해서 그것을 하나의 '태도' 쯤으로 여기곤 한다. 그러니까 청춘을 시간의 경과가 아닌 정신적인 나이로 이해하고자 하는 '뻣댐'은 사실 청춘이 숫자로 읽히는 나이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방증한다. 너도나도 자신의 '청춘'을 연장하려 애쓰지만, 기실 청춘이란 이름이 가장 잘 어울리는 나이가 '20대'라는 것을 부정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JTBC <청춘시대>는 찬란히 빛나지만, 불안하고 아픈 청춘을 절묘히 포착하고 담담히 묘사해냈다. 그리고 진실된 위로를 건넸다. '아픈 게 청춘'이라는 기만적 언어도 아니었고, '다 지나가리라'처럼 어른인 양 관조적인 언어도 아니었다. 어설프게 어르고 달래려 들지도 않았다. <청춘시대>가 선택한 것은 '직시(直視)'였다. 때로 감추지도 애써 과장하지도 않은, 있는 그대로의 응시(凝視)가 이상하게도 훨씬 더 큰 위로가 된다



tvN <굿와이프>가 방영 전부터 숱한 화제를 뿌리며 많은 시청자들의 가슴을 설레게 만든 기대작이었다면, <청춘시대>는 그야말로 '깜짝 선물'과도 같은 드라마였다. 1회가 방송된 후에도 그 존재를 모르는 사람들이 수두룩 했고, 시청률 면에서도 주목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간헐적으로 나오는 기사들은 '호평' 일색이었고, 그 아래 달리는 댓글들은 드라마에 대한 칭찬과 주인공들에 대한 공감으로 가득찼다. 


고맙게도 1.310%로 미미하게 시작했던 시청률은 마지막 회인 12회에 가선 2.122%까지 오르며 장족의 발전을 거뒀다. 이와 같은 시청률의 반등은 드라마의 '진심'이 통했음을 의미한다. 제목 그대로 이 시대 청춘의 이야기를 '잔잔히' 담아내겠다는 기획 의도가 성공한 것이다. 탄탄한 연출과 시나리오(박연선 작가)가 바탕이 됐고, 캐릭터에 '빙의'됐다고 표현해도 무방할 만큼 누수 없는 연기를 보여준 5명의 배우들이 혼연일체를 이뤘다.



윤진명(한예리), 정예은(한승연), 송지원(박은빈), 강이나(류화영), 유은재(박혜수)는 곧 우리의 모습이었다. 반대로 다섯 명의 여배우는 각자의 캐릭터를 100% 이상으로 연기해냈다. 한승연, 류화영은 아이돌 출신이라는 멍에를 깨버렸고, 박은빈은 연기 변신을 통해 전성기를 맞이했다. 박혜수도 차분히 제몫을 충실히 해냈다. 맏언니였던 한예리도 '중심'을 잘 잡아줬다.  


셰어하우스 '벨 에포크'에 함께 살게 된 5명의 청춘들의 삶과 고민은 곧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춘의 것이었다. 사실 그 현실은 냉혹했고, 이를 바라보는 일은 씁쓸하기 짝이 없었다. 드라마가 건넨 위로가 건네졌을까. 이 시대의 청춘들은 앞으로 어떤 대답을 내놓을까? 드라마 속에 담겼던 청년들의 현실에 대해 잠깐 짚어보기로 하자. 가장 먹먹했던 사연이었던 정예은이 당한 데이트 폭력과 윤진명이 감당해야 했던 청년 실업 문제를 포인트로 잡았다.



1. 데이트 폭력


정예은은 자신에게 진실되게 사랑하지 않는 고두영(지일주)에게 이별을 통보한다. 하지만 고두영은 열등감을 표출하며 이를 거부했고, 급기야 예은을 납치한 후 자신의 집에 감금한다. 그리고 폭행까지 일삼았다. 다행스럽게도 예은은 친구들의 도움으로 구출됐지만, 충격과 상처는 쉬이 사라지지 않았다.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는 것은 녹록치 않았고, 정신과 치료를 받아야 하는 지경이었다. 가해자 두영은 스스로의 행동을 "너무 사랑해서 그랬다"고 합리화했다. '사랑'으로 모든 것을 합리화하려는 데이트 폭력의 전형적인 모습이었다.



통계를 살펴보자. 올해 2월, 경찰은 데이트 폭력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그 결과 총 5,941의 신고 중 5,172명을 검거(320명 구속)했다. 유형별로 정리를 해보면, 폭행이나 상해는 73.3%(3,789명)였고, 체포감금 · 협박은 13.5%(699명)이었다. 스토킹 등 기타 유형은 9.5%(491명), 성폭력은 3.1%(162명), 살인은 0.6%(31)명이었다. 피해자 10명 중 8명은 여성이었고, 가해자의 연령은 20~30대가 58.2%를 차지했다. 


"(데이트 폭력) 피해자를 보호하는 정책이 사실상 없다시피 하거든요. 의료적, 심리적인 법적 지원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변화시키는 게..."" 송란희(한국여성의전화 사무처장) KBS1 뉴스 , 여자친구 6시간 구타..'도 넘은' 데이트 폭력


그러니까 예은의 케이스는 대한민국 사회에서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데이트 폭력'과 (통계적으로도) 일치했다. 그리고 매우 현실적으로 사실감 있게 그려냈다.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고 있는 폭력에 대해 좀더 깊은 고민을 해야 하는 시점이다. 그리고 이 문제가 더 이상 '개인'의 범주가 아니라 '사회'의 것이 됐음을 인지해야만 한다. 굳이 대상을 여성으로 제한할 필요는 없다. '데이트 폭력'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니까 말이다.


2. 청년 실업


"재벌 2세를 만나 팔자가 변하는 드라마, 직장동료가 알고 보니 사장 아들이었다는 설정보다는 훨씬 더 현실적이었다고 본다. 또 진명이는 돈이 어디로 세는지 분명히 알 수 있는 캐릭터니까 그것만큼 현실적인 게 없는 것 같다." <엑스포츠뉴스>, 한예리 "'청춘시대' 비현실적? 재벌 2세 드라마보단 현실적" 



포털사이트 DAUM에서 실시한 '청춘시대' 내가 가장 공감했던 캐릭터는?'이라는 투표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한 건 바로 윤진명이었다. 명문대를 다니는 취업 준비생인 그는 극심한 생활고로 인해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며 살아간다. 쉴틈없이 빡빡하게 살아가지만, 현실은 조금도 나아지지 않는다. 그의 삶 속에서 유일한 낙은 일요일 밤에 베란다에서 홀짝이는 맥주가 전부다. 사실 윤진명에 대한 공감도가 저리 높은 건 놀랄 일이 아니다.


2015년 대한민국의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9.2%(이 수치도 실질적인 실업률이라고 보기 어렵지만)로 나타났다. 전년에 비해 0.2% 포인트 올라 1999년 통계 집계 기준을 바뀐 이후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고 한다. 흥미(롭다고 해야할지 모르겠지만)로운 것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의 회원국이 총 34개국인데, 이 중에서 29개국은 청년실업률이 전년과 같거나 감소했고, 오로지 5개국만 상승했다고 한다. 그 중 하나가 대한민국이다.



청년(비단 청년뿐이겠는가)들이 서 있는 땅이 더욱 척박해지고 있다. 2015년 대한민국의 청년 실업자 수는 39만 7천 명에 이른다. 전년보다 1만 3천 명이 늘었고, 2013년 이후 계속해서 증가세에 있다. 문제는 그것뿐만 아니다. 양질의 일자리는 당연히 찾아보기 어렵고, 당장 눈앞의 '삶'을 해결하기 위해 뛰어드는 아르바이트는 고작 '최저임금(2016년 기준 6030원)'만을 줄 뿐이다.


이 턱없이 부족한 시급으론 하루를 버티는 것조차 벅차다. 2017년의 최저임금은 6,470원으로 결정됐는데, 이대로는 희망이 보이지 않는다. 청년유니온은 "인간다운 삶을 위해 최저임금 1만 원 보장하고 최저임금위원회 결정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외치지만, 이 목소리는 그 어디에도 닿지 않고 무참히 부서진다. 이들에게 청년의 '아름다움'을 이야기하는 건 얼마나 잔인한 일인가.


장학금을 받기 위해선 자신의 가난을 증명해야 하고(<오마이뉴스>, "'가난 증명서' 제출은 한국형 복지의 비극"), 서울시의 청년수당에 맞서 정부는 취업수당을 내세웠고, 그 둘은 미묘하게 얽혀 진흙탕 싸움을 벌인다. 누구를 위한 싸움인지 묻는 건 되려 어리석다. 윤진명에 대한 저 수많은 공감은 어제의 윤진명들과 현재의 윤진명들, 그리고 미래의 윤진명들의 절규인 셈이다. 


벗어날 곳 없는 불안한 세대의 절망, 아니 벗어날 수도 없다는 무력감. 이것이 드라마 <청춘시대>가 직시한 청춘들의 삶이다. 드라마는 끝났지만, 현실은 계속 이어진다. 우리는 그들에게 무슨 말을 건넬 것인가. 대한민국 사회는 이 시대의 청년들에게 어떤 이야기를 전할 것인가. 어떤 해답을 마련할 것인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