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 연예

너 'SKY 캐슬' 맞아? 유현미 작가의 복수, 시청자들은 불행해졌다

너의길을가라 2019. 2. 2. 13:14
반응형



"너 <SKY 캐슬> 맞아?"


차기준(조병규)은 자신의 요약 노트를 오픈하겠다는 강예서(김혜윤)에게 "너, 강예서 맞아?"라고 되묻는다. 서울대 의대에 가겠다는 일념으로 모든 친구들을 경쟁자로 여기며 살아왔던 예서의 눈에서 독기가 완전히 빠졌다. 그만큼 많이 변했다. 달라져도 너무 달라졌다. 사실 그 질문은 오매불망 금요일 밤이 오기를 기다려 왔던 시청자들이 <SKY 캐슬>에 던지고 싶었던 물음이었다. 


허탈했고, 허무했다. 고작 '이걸' 보려고 한 주를 더 기다려야 했단 말인가. 두 눈과 두 귀를 의심할 수밖에 없었다. 드라마 대본인가, 도덕책인가. 내가 틀어놓은 채널이 JTBC인가, EBS인가. 사회 풍자 블랙코미디인가, 청소년 드라마인가. 도대체 내가 본 게 뭐지? 도발적이었던 드라마가 김빠진 사이다가 됐다. 날카로운 고민을 던지던 드라마가 어설픈 계도(啓導) 프로그램이 됐다. 



역시 드라마는 작가의 역할이 '8할'이다. 극본의 힘이 쏙 빠지자 모든 구성이 엉성해졌다. 갑자기 캐릭터가 180도 바뀌고, 대사의 맛깔스러움이 사라지자 배우들의 연기는 평범해졌다. '빈틈'을 충실하게 채워줬던, 시청자들을 열광시켰던 매혹적인 카메라 워킹과 섬세하고 감각적인 연출은 온데간데 없었다. '도덕책'을 구현하는 데 무슨 테크닉이 필요하겠는가. 


'욕망의 화신' 차민혁(김병철)은 백승혜(윤세아)에게 백기투항했다. 뒤이어 차민혁의 코미디 쇼가 이어졌다. 학벌을 위조한 '사기꾼' 차세리(박유나)는 법적인 처벌을 받아도 시원치 않은 판에 당당함을 유지한 채 살아간다. 백슨혜는 '가부장제의 표본'인 차민혁이 변할 거라고 믿는 걸까. 그나저나 두 사람은 정말 사랑했었던가. 뜬금없이 닭살스러운 두 사람의 모습은 낯설기만 하다. 


우주는 고등학교를 자퇴했다. 혜나의 죽음을 통해 더 이상 책상머리에 앉아 공부를 하는 게 무의미하다는 걸 깨달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졸업장'보다 '자기'를 찾는 게 더 중요하다며 여행을 떠났다. 중반으로 가면서 점차 자신의 존재감과 개연성을 찾아갔던 이수임(이태란)은 케이(조미녀)를 돌보는 진짜 '천사'가 됐다. 그가 쓴 소설 『안녕, 스카이 캐슬』은 시작은 미약했으나 그 끝은 창대하게 됐다. 



가장 놀라운 변화는 강준상(정준호)의 가족들에게 찾아왔다. 한서진은 평온해졌다. 욕망을 버렸다. 자신을 괴롭히던 모든 압박으로부터 자유로워졌다. 곽미향이라는 과거를 받아들이기로 했다. 예서는 그 누구보다 순한 아이가 됐고, 자기 주도 학습을 하겠다며 밝게 웃는다. 극악했던 시어머니 윤여사(정애리)는 며느리 한서진에게 살포시 초밥을 건넨다. 철이 든 강준상과 성숙한 한서진은 서로를 이해하고 아끼는 금슬 좋은 부부가 됐다. 


'힘든 일을 겪었지만, 결국 다들 행복하게 살았더래요.' 동화(童話), 아니 드라마 <SKY 캐슬> 속 모든 사람들이 구원 받았다. 그것도 '스스로' 구원받았다. 이 결말은 매우 불만스럽다. '금수저들의 성장 드라마'라는 비난이 쏟아지는 건 당연한 일이다. 부족한 개연성에도 억지로 '(자신만의) 해피 엔딩'을 이끌어내려 했던 유현미 작가의 무리수라는 지적이다. 이렇게까지 했어야 했을까.


조짐이 보이지 않았던 건 아니다. <SKY 캐슬>이 무너져 내리기 시작한 건 '혜나의 죽음'부터였다. 그건 드라마의 방향을 뒤바꿔 놓을 만큼 파격적이었다. 물론 가능한 선택이었다고 본다.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던 혜나를 통해 여러가지 이야기들을 끄집어낼 수 있었으니까. 그런데 문제는 그 이후였다. 혜나의 죽음으로부터 무엇을 이끌어낼 것인가. 유현미 작가는 '대화합'을 선택했다. 



혜나의 죽음은 강준상의 개과천선을 이끌어냈다. 친딸을 죽게 했다는 죄책감에 휩싸인 그는 반성했고, 깨달았고, 변화했다. 철없이 살았던 강준상이 '어머니'라는 인큐베이터에서 벗어났다. 강준상이 진짜 '어른'이 되자 구도가 뒤틀어졌다. 이 맥락은 상당히 섬뜩하게 다가온다. 결국 '집안의 진정한 평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건 가장(家長)뿐'이라는 또 다른 가부장 신화를 추구하는 듯하기 때문이다. 


결국 불쌍한 건 혜나뿐이었다. 혜나는 왜 죽어야 했을까. 유현미 작가는 그에 대한 명확한 대답을 하지 못했다. 혜나의 죽음을 통해 더 거대한 파국을 이끌어냈어야 마땅했다. 욕망과 탐욕의 노예가 된 사람들이 '악마'와 거래한 대가를 분명히 치르게 해야 했다. 그 절망과 고통을 또렷하게 보여줬다면 어땠을까. 어설픈 대화합이 아니라, 이도저도 아닌 개과천선이 아니라, 비현실적인 가정의 회복이 아니라. 


<SKY 캐슬>은 첫 회부터 그랬던 것처럼, 끝까지 휘몰아쳐야 했다. '답'을 내리기보다 '질문'을 계속 던져야 했다. 어찌됐든 23.779%라는 최고 시청률을 얻어냈지만, 시청자들의 불만까지 함께 사면서 아쉬운 끝맺음을 하게 된 건 두고두고 아쉬운 일이다. 시청자들이 가장 행복할 때, 스스로 재미없어짐으로써 그 기쁨을 앗아가는 것. 그것이 유현미 작가가 그린 '복수'라면 할 말이 없다. 그러나 드라마의 파장이 너무 커져서 겁이 난 거라면 실망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