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를 듣는 귀

세월호 참사, 주간지 표지를 통해 본 언론의 시선

너의길을가라 2014. 4. 24. 12:32
반응형

 

 

<시사IN>, <시사저널>, <주간경향>, <주간조선>, <한겨레21>을 비롯한 주간지들이 일제히 발행됐다. 모두 '세월호 참사'를 심층적으로 뤘다. (정정하겠다. <주간조선>을 제외한 다른 주간지들만 '심층적으로 다뤘다.) 각 주간지의 표지를 확인해보도록 하자. 사진은 각 주간지의 홈페이지에서 가져왔다. 사진의 크기가 일률적이지 않은 점은 이해해주길 바란다.

 

 

 

 

 

 

<시사IN>은 태극기 뒤로 가라앉고 있는 세월호의 모습을 표지 사진으로 선정했다. '기다리라 하더니…' 라는 문구도 함께 삽입했다. 마치 침몰하는 것은 세월호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그 자체인 것처럼 느껴진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시사저널>도 침몰하는 세월호의 사진을 배경으로 '고장난 나라'라는 타이틀에 '비겁한 선장 무능한 정부 한심한 언론'이라는 문구를 집어 넣었다. 현재의 상황을 가장 적나라하게 표현한 내용이 아닌가 싶다.

 

<주간경향> 역시 침몰하기 직전, 물에 완전히 가라앉기 직전의 세월호의 모습과 함께 '대한민국 비판에 빠지다'는 문장을 채워넣었다.

 

<한겨레21>도 마찬가지로 겨우 수면 위에 형체를 드러내고 있는 세월호의 모습을 담았고, '이것이 국가인가'라는 통탄스러운 한마디를 실었다.

 

 

 

한편, <주간조선>은 이번 세월호 참사와 관련된 가족의 사진과 함께 '이래도 수학여행 가야 하나'는 질문을 던졌다. 이 부분에서 필자는 조금 의아함을 느꼈다. 언론에게 있어 '메인 기사'는 언론사의 얼굴이라고 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아니, 절대적이다. 우리는 각 언론사의 '메인 기사'를 통해 지금 이 시점에서 그 언론사가 어떤 뉴스를 전달하고 싶어하는지, 특정 사안을 어떤 시선에서 바라보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소재'와 관점'을 모두 파악할 수 있다.  그래서 '메인 기사'만 봐도 (TV뉴스의 경우에는 메인 뉴스가 될 것이다.) 그 언론의 정체성을 이해할 수 있다.

 

앞서 다뤘던 <시사IN>, <시사저널>, <주간경향>, <한겨레21>의 경우에는 침몰하는 세월호와 함께 '대한민국'도 침몰하고 있음을 표현했다. 이 사건은 <시사저널>이 표현했던 것처럼 '한심한 선장'에게 무거운 책임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는 '세월호 참사'를 다룬 언론들이 찾아내고 분석한 보도를 통해 단순히 그것만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잘 알게 됐다. 

 

 

- <연합뉴스>에서 발췌 -

 

청해진해운의 경영적인 문제들도 드러났고, 선박 운항에 있어 잘못된 관행들이 확인됐다. 이는 아주 깊숙한 곳까지 뿌리깊게 박혀 있었다. 이뿐만이 아니다. 소위 '해피아(해수부 마피아'의 존재, 그 검은 유착은 썩을 대로 썩어 있는 대한민국의 현실을 고스란히 보여주었다. 모피아(기획재정부) 에 이어 금피아(금감원), 교피아(교육부), 국피아(국토교통부), 산피아(산업통상자원부), 원자력마피아까지. 이것뿐이겠는가?

 

끼리끼리 뭉치고, 이권을 탐하는 것, 돈을 추구하는 것은 인간의 '평범한' 욕망이다. 이를 마냥 탓할 수는 없을 것이다. 문제는 이것을 제어하고 관리해야 할 '국가'가 그 역할을 내팽개쳐 버렸다는 것이다. '세월호 참사'를 무기력하게 지켜보면서 '국민'들이 느꼈던 비통함은 국가의 구조 시스템이 완전히 엉망이었다는 점이다. 내가 혹은 나의 가족이 이와 같은 위험에 직면했을 때,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는 우리를 '지켜줄 수 없다'는 생각은 '공포'로 자리잡았다.

 

정상적인 언론이라는 '한심한(이라는 말로는 부족해도 너무도 부족한) 선장과 선원들'의 잘못을 꾸짖는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야 한다. '시스템'을 이야기해야 한다. 재난이 발생했을 때,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시스템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아무런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던 정부의 문제점을 돌이켜봐야 한다.

 

 

<주간조선>의 표지는 어떠한가? 물론 필자도 '수학여행'의 존치에 대해 진지한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갖고 있는 장점보다 폐해가 더 많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 그렇지만 어떤 문제가 발생했다고 해서 당장 그것을 '없애버리는 것'은 바람직한 문제해결 방식이 아니다. 만약 출근길에 대형 교통사고가 벌어지면 <주간조선>은 '출근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할 셈인가? 이것은 단순히 '어른'들이 결정할 문제도 아니다. 수학여행을 떠나는 당사자인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해서 결정해야 할 일이다.

 

'어른'들이 해야 할 일은 간단하고도 명확하다. 수학여행 가다가 사고가 났으니 이 참에 수학여행을 없애 버리자고 할 것이 아니라 마음 놓고 수학여행을 떠나도 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가능하면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겠지만, 설령 불가피한 사고가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조해낼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수학여행을 폐지하는 문제는 (일단 수학여행 자체를 보류해두고) 그 다음에 논의해도 늦지 않다.

 

 

반응형